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트럼프 대통령이 암호화폐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미국의 가상자산 정책 방향성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밈코인(Meme Coin) 발행에 이어 최근 스테이블코인 'USD1' 출시 계획을 발표하며 암호화폐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는 트럼프의 행보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트럼프의 스테이블코인 진출과 암호화폐 정책 방향성
    트럼프의 스테이블코인 진출과 암호화폐 정책 방향성

     

    1. USD1 스테이블코인의 개요

    트럼프 가족이 소유한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이 설계한 USD1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1달러에 페깅(고정)되어 가치 안정성 추구
    • 미국 국채, 달러, 현금성 자산으로 뒷받침
    • 초기 발행량 약 350만 달러 규모
    • 이더리움 및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에서 우선 발행
    • 추후 다양한 블록체인으로 확장 계획

    2. 트럼프의 암호화폐 사업 확장

    트럼프는 USD1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가상자산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1. 밈코인 발행: 연초에 오피셜 민코인을 출시하여 암호화폐 시장에 첫발을 내딛음
    2. 트럼프 미디어 앤 테크놀로지: 크립토닷컴(Crypto.com)과 협력하여 가상자산 ETF 출시 검토 중
    3.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 트럼프 가족 소유 금융회사로, USD1 스테이블코인 발행 주도

     

     

    3. 스테이블코인 USD1 선택의 전략적 의미

    트럼프가 밈코인에 이어 스테이블코인을 선택한 배경에는 여러 전략적 의도가 있습니다:

    A. 달러 패권 강화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의 지배력을 더욱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트럼프의 발언에서 알 수 있듯이, 달러의 글로벌 영향력을 디지털 영역으로 확장하려는 의도가 분명합니다.

    B. 실용적 금융 도구 제공

    스테이블코인은 다양한 경제 환경에서 실질적 효용을 제공합니다:

    • 선진국: 효율적인 국가 간 결제 수단
    • 신흥국: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
    • 금융 저발전 국가: 은행 계좌 대체 수단

    C. 성장하는 시장 선점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올해만 약 80% 성장하여 2,260억 달러(약 330조 원) 규모에 도달했습니다. 이 성장세를 활용하려는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4. 미국의 암호화폐 정책 방향성

    트럼프 정부의 암호화폐 정책은 크게 세 가지 방향성을 보입니다:

    A. "미국을 가상자산의 수도로"

    트럼프는 컨퍼런스에서 "미국을 확고한 비트코인의 초강국으로, 가상자산 중심지로 만들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이는 중국, 싱가포르 등 다른 국가들의 암호화폐 중심지 지위 경쟁에 대응하는 정책으로 볼 수 있습니다.

    B.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의 통과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판도를 바꿀 잠재력을 가집니다. 이 법안이 시행되면 미국 기업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의 영향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C. 미국 기업 중심의 생태계 구축

    현재 테더(Tether)를 제외한 주요 스테이블코인은 대부분 미국 역외 회사 발행 코인으로 간주됩니다. 트럼프 정부는 USDC와 같은 미국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이제 USD1을 통해 이 시장에 직접 참여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5. 이해 상충 논란

    트럼프의 암호화폐 (USD1) 진출에는 이해 상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 대통령으로서 공적 권한을 가진 상태에서 가족 기업을 통한 사적 이익 추구 가능성
    • 밈코인 발행 당시에도 유사한 이해 상충 논란이 있었음
    • 정책 결정과 사업 이익 간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비판

    6. 향후 전망

    트럼프의 스테이블코인 진출은 단순한 사업 확장을 넘어 미국의 글로벌 금융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달러 디지털화: 디지털 달러의 확산을 통해 달러 패권을 디지털 시대에도 유지하려는 전략
    • 테더와의 경쟁: 현재 스테이블코인 시장 점유율 1위인 테더에 대항하여 USDC와 함께 미국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영향력 확대
    • 가상자산 친화적 정책: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면서도 미국 중심의 에코시스템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정책 전개 예상

    트럼프의 이러한 행보는 가상자산에 대한 미국의 태도 변화를 상징하며, 향후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이 차지하는 위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