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 정책이 세계 경제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호관세'의 뜻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발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 도대체 무슨 뜻일까?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 도대체 무슨 뜻일까?

    상호관세 뜻은 무엇일까?

    상호관세란, 한 나라가 다른 나라로부터 받는 무역장벽(관세, 비관세 장벽 등)에 맞춰 똑같은 수준의 관세를 상대국 상품에 부과하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네가 우리한테 10%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도 너한테 1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맞대응 관세입니다.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 핵심

    한국 시각으로 2025년 4월 3일, 트럼프 대통령은 '해방의 날(Liberation Day)' 연설을 통해 새로운 관세 정책을 발표하며 모든 수입품에 기본적으로 1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여기에 국가별로 추가적인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입니다. 미국 입장에서 볼 때 각 나라가 미국에 부과하고 있는 모든 무역장벽(관세뿐 아니라 비관세 장벽과 부가가치세 등)을 계산해, 그에 상응하는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주요 내용:

    • 10% 기본 관세: 2025년 4월 5일 오전 12시 1분(미 동부 표준시)부터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의 관세가 부과됩니다.
    • 국가별 추가 관세: 2025년 4월 9일 오전 12시 1분(미 동부 표준시)부터 특정 국가에 대해 추가적인 '상호 관세'가 적용됩니다. 주요 국가별 관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국: 34%
      • 유럽연합(EU): 20%
      • 일본: 24%
      • 한국: 25%
      • 베트남: 46%
      • 대만: 32%
      • 영국: 10%
    • 자동차 관세: 2025년 4월 3일 자정부터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가 부과됩니다.

    트럼프는 왜 상호관세를 도입했을까?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상호관세 도입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 미국의 만성적인 무역 적자 해결
    • 불공정 무역 관행을 바로잡고 국내 일자리 창출
    • 제조업을 미국으로 되돌려, '제조강국'의 지위를 회복

    트럼프는 "과거 관세가 높던 시절 미국이 부강했다"며 높은 관세가 미국 경제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상호관세의 영향은?

    상호관세는 글로벌 무역 구조에 큰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처럼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은 즉각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한국의 자동차, 전자제품 등 주요 대미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 하락
    • 국제 무역 긴장 고조 및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
    • 다른 국가들의 보복 관세 조치 가능성

    각국의 반응

    • 중국: 강력한 맞대응을 경고하며 추가 보복 조치를 예고
    • EU: 미국의 서비스 및 디지털 상품 수출에 타격을 주는 보복 관세 검토
    • 일본: 미국 내 생산 거점 확대 등 적극적인 협력과 대응 준비
    • 캐나다와 멕시코: 협력과 강경 대응 전략을 동시에 준비
    • 한국: 수출국 다변화 전략과 외교 협상을 통한 대응 모색

     

     

    반응형